맞춤 화장품
맞춤형 화장품 뜻
개인의 취향과 개성을 중시하는 개인화 트렌드에 따라
개인 맞춤형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맞춤형 화장품이란
개인의 피부 상태나 취향에 맞춰 원료를 배합해 만드는 제품을 뜻합니다.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출하된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피부 타입이나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화장품 매장에서 혼합하거나 소분한 화장품을 뜻합니다.
법적 근거 및 정의
한국은 맞춤형 화장품 시장을 대상으로 세계 최초로 법을 제정하고
맞춤형 화장품 자격증을 운영하여 관련 전문가를 육성하고 있습니다.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 제도로
1) 화장품의 내용물을 작은 단위로 소분하거나
2) 화장품의 내용물에 색소나 기능성 원료 등을 혼합하는 것을 뜻합니다.
중요한 것은
판매장 마다 '맞춤형 화장품 조제 관리사' 자격증을 소지한 자를 반드시 고용해야 한다는 점!
맞춤형 화장품 전망
맞춤형 화장품 시장 규모는
2021년 11억 4,400만 달러로 성장률 51.9%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코로나에도 불구하고 급격하게 성장했으며
2025년에는 40억 500만 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홈테스트키트, 진단기기, 설문 상담 앱 서비스, 뷰티디바이스 시장 규모를 함께 반영하면
2021년 436억 6,000만 달러로 추정되며
2025년 581억 6,000만 달러로 7.6%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합니다.
맞춤형 화장품 브랜드
국내에서 대표적인 맞춤형 화장품 브랜드로는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을 꼽을 수 있습니다.
아모레퍼시픽 맞춤형 화장품 브랜드 '커스텀 미(CUSTOM.ME)'를 출시하였으며
피부 진단기기 ‘칩-리스 무선 전자 피부’를 개발했습니다.
‘칩-리스 무선 전자 피부’ 란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피부 상태를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는 장비라고 합니다.
맞춤형 화장품 조제 관리사
맞춤형 화장품 조제 관리사는 국가 전문자격으로
맞춤형 화장품 조제를 허가받기 위해 필요한 자격증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주관하며
한국생산성본부에 위탁해 진행하고 있습니다.
응시 과목은 아래와 같이 총 4과목입니다.
1) 화장품법의 이해
2) 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
3) 유통화장품의 안전관리
4) 맞춤형 화장품의 이해
연령, 학력 등 별도의 응시자격 제한이 없으며,
1) 각 과목 만점의 40% 이상을 득점하고
2) 전 과목 총점(1,000점)의 60%(600점) 이상을 득점한 자는 합격이라고 합니다.
'뷰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스미 아이라이너 7가지 비교 - 1) 펜슬 타입 (0) | 2022.12.10 |
---|---|
다이소 아이라이너 종류, 가격, 지속력 리뷰 (1) | 2022.12.10 |
로라메르시에 세일 20% 직구 할인 쿠폰 (0) | 2022.11.10 |
앞머리 종류 - 5. "잔머리, 애교머리" 자르기 vs 없애기 (0) | 2022.11.09 |
앞머리 종류 - 4. "처피뱅" 어울리는지 확인 (0) | 2022.11.08 |